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2

국제 규격 FCC 알아보기 FCC 인증이란 이란 미국의 전파통신규격으로 강제 인증 제도입니다. FCC는 민간부문의 통신을 관할하며 전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관리를 위해 주요 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불요전 자파 (EMI)를 규제합니다. 이를 위반할 시 연방 통신 법에 따라 제품의 수입, 판매, 전시, 광고 등 유통 전반에 걸친 강력한 제재가 수반됩니다. 관련 제품에 대한 FCC 인증을 받지 못하면 미국 내로 제품을 상륙시키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미국 내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FCC 인증 획득은 필수임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10KHz ~ 3,000 GHz의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을 발사하는 각종 장치에 대해 승인) ※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 2023. 2. 9.
일본 이커머스 플랫폼 야후쇼핑 알아보기 일본의 포털, 검색 사이트로 유명한 야후에서 운영하는 쇼핑몰로 네이버 지식 쇼핑과 비슷한 쇼핑몰이며, 프리미엄 회원 정책을 바탕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라이벌인 라쿠텐이나 아마존 등과 달리 포인트 X배 등의 캠페인이 많고 프리미엄 회원은 보너스 포인트가 있으므로 잘만 이용하면 표시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야후 쇼핑이 성장한 핵심요소로는 프리미엄 회원에 대한 정책이 두드러집니다. 프리미엄 회원에게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는데, 이용률에 따라 포인트가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야후가 부담하는 포인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부분은 광고 수익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부담이 되는 포인트비용을 보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야후 쇼핑에서의 매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은 야후 프리미엄 회원인 것입니다. 프.. 2023. 2. 9.
일본 전자상거래 플랫폼 라쿠텐 이치바 알아보기 라쿠텐 이치바 (Rakuten Ichiba)는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아마존 재팬과 함께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쇼핑 플랫폼으로, 유통 총액은 아마존 재팬보다 우위로 일본 최대의 유통망을 자랑하고 약 4만 9,000개 이상의 입점 판매자, 1억 1,5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입니다. 판매자는 각각 라쿠텐 일본 내에서 방문자를 마켓 플레이스의 상점으로 바로 안내하는 자체 랜딩 페이지를 가지고 있으며 페이지 레이아웃을 디자인하는 방식이 더 유연하여 아마존과 같은 제품 중심 사이트와 비교할 때 더 다양한 구매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각 상점 소유자는 제품 판매 및 상품화 방법을 제어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계절별 트렌드에 적응하고 새로운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제품 목록을 업데이트하.. 2023. 2. 9.
일본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 재팬 알아보기 아마존 재팬 (Amazon.co.jp)은 2000년 11월 1일에 설립됐으며, 상품의 입고 및 배송 관련 자체 물류망을 구축하고 있어 상품 주문에서 도착까지의 신속성은 업계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운영하는 마켓 플레이스 (아마존을 통해 개인이나 기업이 판매하는 사이트)는 중고품도 출품 가능하며, 풍부한 상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있습니다. 한국 식품, 화장품, 패션, 육아용품, 스포츠용품 등 다양한 제품이 출품돼 있으며 아마존 프라임 (Amazon Prime)에서는 한류 드라마와 영화를 비롯한 한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종합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말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 재팬 관련 서비스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기프트 카드로 현재 다양한 종류의 기프.. 2023. 2. 9.
소셜미디어 마케팅 알아보기 소셜미디어 마케팅 (Social Media Marketing, SMM)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트래픽을 유도하는 마케팅 방법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방법으로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 활용, 인플루언서 마케팅, 라이브커머스, 타겟광고 등이 있습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 (UGC) 사용자 생성 콘텐츠 (User Generated Contents, UGC)란 브랜드 관계자가 아닌 사용자가 웹 사이트, 소셜 미디어, 블로그, 리뷰 또는 평가 사이트 등 공개 영역에 브랜드를 언급하거나 관련 내용을 게시하는 모든 미디어 콘텐츠를 뜻합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전문적인 제품 광고가 아님에도,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 2023. 2. 7.
숏폼 Short-form 동영상 총정리 숏폼 (Short-form) 동영상 : SNS에 업로드된 짤막한 반려동물 영상을 넘겨보고, 주변 사람에게 공유하는 것을 오늘날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짧은 길이의 동영상 콘텐츠들을 숏폼 (Short-form) 동영상이라 합니다. 숏폼 동영상이란 짧게는 10초 안팎, 길게는 10분 내외의 짤막한 동영상 콘텐츠로서, 정해진 시간 범위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3분 이하의 동영상을 의미합니다. 동영상 시청이 우리 일상의 한 부분이 되면서, 짧고 부담 없이 볼 수 있는 숏폼 형식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숏폼 동영상의 인기와 함께, 최근 빈지워칭, 일명 몰아보기를 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 빈지워칭 (binge-watching) :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행위.. 2023. 2. 6.
글로벌 소셜커머스 총정리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Social Media)인 페이스북 (Facebook)은 약 29역 명의 월간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튜브 (Youtube)와 왓츠앱 (Whatsapp)은 각각 약 20억 명이 넘는 월간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셜커머스 (Social Commerce)는 소셜미디어 쇼핑으로도 불리는데, 이러한 소셜미디어 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파는 전자상거래를 말합니다. 초기 소셜미디어 (Social Media)는 이용자들이 단순히 생각, 경험 등을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상업적 판매와 마케팅 활동까지 진행할 수 있는 소셜커머스 (Social Commerce)로 기능이.. 2023. 2. 5.
비즈니스 첫인상 글로벌 에티켓 알아보기 비즈니스를 진행한다면 세계 각국의 외국인 담당자를 만날 일이 많을 것입니다. 언어와 문화가 다른 외국인을 접할 때 가장 먼저 알아둬야 할 것이 바로 ‘글로벌 에티켓’입니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담당자들의 행동 하나하나가 비즈니스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각 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와 환경을 알아둬야 합니다. 특히 해외영업이나 파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분이라면, 현지의 환경을 철저히 파악하고 나라별 비즈니스 매너를 사전에 체크해 두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나라별 비즈니스 매너 정리 글로벌 에티켓의 첫걸음, 바로 상대국가의 문화와 미팅 특성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상대의 문화를 모른다면 매너를 지키려고 해도 지킬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 2023. 2. 5.
라이브커머스 Live Commerce 알아보기 ‘라이브커머스’란 ‘라이브 스트리밍 Live Streaming’과 ‘전자상거래 E-Commerce’의 합성어로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온라인에서 상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소셜미디어 등의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을 활용한 ‘라이브커머스’는 실시간 생중계로 제품을 판매하는 비디오 마케팅 수단이자 온라인 판매 채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팔 수 있다는 점에서 홈쇼핑과 유사하지만, 라이브커머스 상에서는 시청자와 판매자 혹은 시청자 사이의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합니다.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소비 증가로 급속하게 성장했습니다. 2019년 대비 2021년 지역별 라이브커머스 이용 증가율은 유럽의 경우 86%,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경우 76%.. 2023. 2. 3.
국제 규격 CE인증 총정리 인증제도란 평가대상이 그에 적용되는 평가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자격을 갖춘 자가 평가를 직접 수행하거나 제3자의 평가결과를 근거로 입증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ISO/IEC 17000, KS A ISO/IEC Guide 2) 국제적으로 제품/서비스의 수준 유지를 위한 국제 규격 인증제도와, 각 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다양한 인증제도가 존재합니다. CE인증 (CE marking) CE인증 마크는 기존 회원국별로 상이한 규격을 EU 차원에서 통일시키고 EU 공동규격에 상품이 적합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표식으로, 제품과 포장에 부착하도록 의무화되었습니다. 마크는 프랑스어 ‘Conformité Européene’의 약자로서 ‘유럽 적합성’을 의미합니다. 처음에 사용된 용어는 ‘EC 마크’ 였.. 2023. 2. 3.
2023 글로벌 사회 트렌드 및 시사점 2023년 글로벌 사회 트렌드 및 시사점 분야 주제 정치 a. Deglobalization (위기의 세계화) 경제 b. Strong, Now Shaking (흔들리는 선진국) c. Amazing Asia (위기 속에 빛나는 아시아) d. Swamp in Debt Overhang (정부부채 과잉의 늪) 산업/경영 e. Return to Oldies, but Goodies (원전의 귀환) 에너지/자원 f. Cold and Hungry World (춥고 배고픈 세계) 사회/문화 g. Overheated Earth (지구의 한계를 앞당길 인구문제) a. Deglobalization (위기의 세계화) 👉🏻 코로나19 위기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탈세계화 현상이 뉴노멀 (new normal)로 자리 잡을 .. 2023. 2. 3.
스마트 운동 파트너 - 디지털 피트니스 디지털 피트니스의 급부상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 아시나요? 웨어러블(wearable) ‘입을 수 있는’ + 디바이스(device) ‘기기’의 합성어로 옷, 안경, 시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말합니다. 사실 팬데믹 시대 이전부터 각종 디지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선보이고 있었으나, 펜데믹이 그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 상황이 된 것입니다. 각종 디지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면서 현재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다양한 디지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하나씩은 꼭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현재 5G로 촉발된 초연결 사회화는 이를 더욱 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디지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함께 팬데믹 시대의 장기화는 비대면 또는 사.. 2023.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