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usiness/💎 비즈니스 정보

해외규격 FSSC22000

by bencowa 2023. 3. 10.

해외규격 FSSC22000


FSSC22000 (식품안전 경영시스템) 인증
👉🏻 GFSI (Global Food Safety Initiative : 국제 식품 안전 협회) 개발 운영하는 국제 규격
👉🏻 FSSC 22000은 국제식품안전협회 (GFSI)가 승인한 국제 식품규격 중의 하나
👉🏻 세계 각국의 인정기관 (Accreditation Bodies)으로 부터 인정되고 있는 규격
👉🏻 글로벌 식품기업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식품안전규격
👉🏻 식품 안전 및 품질경영시스템의 범용성 제고를 위해 국제규격 ISO22000을 접목하여 도입



🔶 GFSI (Global Food Safety Initiative : 국제 식품 안전 협회)
👉 식품안전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을 목적으로 2000년 설립된 비영리단체
👉 다농 (DANONE, 佛), 코카콜라 (Coca Cola) 등 400여 개의 글로벌 기업 (식품사업자)들로 구성

FSSC22000 도입 배경
👉🏻 2001년 국제표준화기구 (ISO)는 지구촌의 식품안전 규제사항을 준수해야 하는 기업들에 대한 식품 안전 경영시스템 요구사항 규정을 위하여 표준 개발 착수하여 ISO 22000:2005 개발 (ISO 22000:2005=ISO9001+ HACCP+식품공급사슬 산업분야 요구사항 반영)
👉🏻 ISO 22000:2005 발행 되었지만 2005년 선행요건 프로그램의 결여를 이유로 GFSI 승인 하지 않음
👉🏻 2009년 ISO 22000:2005과 PAS 2008 (선행프로그램 포함을위함) 및 FSSC 추가 요구사항 (식품방어, 식품 사기예방, 알레르기 유발물질 관리 등)을 조합한 형태로 FSSC22000을 발행하여 및 2010년 승인



🔶 ISO22000
👉 ISO/TC34 (식품기술위원회)에서 WHO, FAO 등 국제기구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고,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GFSI (Global food safety initiative : 국제식품안전협회), CIAA (유럽식음료산업연합) 등 조직이 참여하여 2005년 9월 1일 국제규격으로 제정, 공표된 식품안전경영시스템.
👉 ISO9001과 HACCP 시스템 내용을 포함한 식품공급사슬 산업분야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국제인증규격

인증 대상 및 적용 제품
👉🏻 식품제조 업체, 식품수송과 생산현장에서의 보관사업이 포함될 수 있음
✔ 부패하기 쉬운 동물 제품 (포장육, 가금류, 달걀, 유제품 및 생선제품 등)
✔ 부패하기 쉬운 식물 제품 (포장 과일 및 신선 주스, 저장과일, 포장/저장 채소 등)
✔ 유통기한이 긴 제품 (캔류, 스낵류, 오일, 식수, 음료수, 밀가루, 설탕/소금 등)
✔ 식품 원재료 (비타민, 미네랄, 바이오 배양제, 조미료, 효소 및 가공 보조제 등)
✔ 식품 포장 재료 (식품 직·간접 접촉)
✔ 동물용 식품 및 사료 (동물 사료, 물고기 사료 등)
✔ 기초 동물 제품 (우유, 생선, 달걀, 꿀 등)



글로벌 유통업체 납품 위하여 국제적 통용회는 식품안전인증규격 취득여부 중요
👉🏻 수출업체의 경우 국내 HACCP인증과 별도로 GFSI 인증규격을 중복으로 취득하고 있음
👉🏻 GFSI 승인인증 FSSC22000, BRC, SQF, IFS 등
👉🏻 유럽 내 일부 유통업체들은 식품 영업자에게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 있음
👉🏻 GFSI의 사업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제조 및 유통 기업들은, 식품 수입 시 GFSI 승인 인증 보유 여부를 체크하고, FSSC22000, SQF, BRC, IFS 등 네 가지 인증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어야 제품의 입점이 가능하다 명시하는 경우가 많음

🔶 IFS Food (International Food Standard Food)
👉 2003년 독일과 프랑스의 식품유통기업 연합의 주도로 만들어진 국제 식품 규격
👉 인증은 유럽에서 납품업체에게 흔히 요구하는 인증, 인증 검사 절차 시 식품의 품질과안전을 동시에 평가
👉 유통업체의 경우, 프랑스의까르푸 (Carrefour)그룹·오샹 (Auchan)·모노프리 (MONOPRIX)와 독일의 메트로 (METRO)그룹·리들 (Lidl)·네토 (Netto)·알디 (Aldi) 등에서 취급.

🔶BRCGS (British Retail Consortium Global Standard)
👉 1998년 영국소매업협회 (BRC) 주관으로 개발돼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식품안전 관련 국제표준 인증제도
👉 독일·프랑스·영국 내 식품 유통기업들이 요구하는 인증으로 알려져 있음
👉 독일의 유통매장인 리들·알디·메트로가 오랫동안 해당 인증을 사용해왔으며, 최근에는 릴디 영국 지사와 영국 유통 브랜드 테스코 (TESCO)도 이용



🔶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 품원료의 생산단계부터 생산-제조-유통-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섭취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각 위해요소에 대한 방지 방법을 구축 (중요관리점 설정)하여 계획적으로 감시, 관리 함으로서 제품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자 하는 체계적인 관리 기법

🔶 SQF (Safe Quality food)
👉 HACCP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 세계식품안전협회(GFSI)승인 인증 프로그램
👉 북미와 대만지역 바이어의 선호가 높음
👉 1994년 호주에서 처음 개발된 SQF 식품안전표준은 2003년부터 미국의 식품마케팅연구소 (FMI)가 소유하고 관리해 왔으며, 해당 산하의 안전품질식품연구소 (SQFI)로부터 인정받고 있는 식품표준

글로벌 e커머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