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usiness/💎 디지털 마케팅

소셜미디어 마케팅 알아보기

by bencowa 2023. 2. 7.

소셜미디어 마케팅 썸네일


소셜미디어 마케팅 (Social Media Marketing, SMM)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트래픽을 유도하는 마케팅 방법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방법으로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 활용, 인플루언서 마케팅, 라이브커머스, 타겟광고 등이 있습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 (UGC)
사용자 생성 콘텐츠 (User Generated Contents, UGC)란 브랜드 관계자가 아닌 사용자가 웹 사이트, 소셜 미디어, 블로그, 리뷰 또는 평가 사이트 등 공개 영역에 브랜드를 언급하거나 관련 내용을 게시하는 모든 미디어 콘텐츠를 뜻합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전문적인 제품 광고가 아님에도,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2022년 전 세계 소비자 및 마케터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보다 실제 사용자인 다른 소비자들이 제공하는 정보에 더 큰 신뢰를 갖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나아가, 소비자들끼리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동해 제품 및 브랜드 정보를 공유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커뮤니티는 브랜드 인지도 확산 및 구매 전환의 장으로 활용됩니다.



또한,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소비자와 브랜드의 연결성을 강화합니다. 소비자들은 브랜드와 관계를 맺고 브랜드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 하는데,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을 넘어,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심, 인지도를 제고하는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소셜미디어에서 판매자는 콘텐츠 생성에 관한 가이드라인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게시하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습니다.

UGC 예시


인플루언서 마케팅

인플루언서 (Influencer)란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을 뜻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팔로워 수를 가진 SNS 사용자, 파워 블로거, 1인 방송 진행자 등을 표현하는 단어로 쓰입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이란, 인플루언서와 그들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활용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마케팅 전략을 뜻합니다.
인스타그램에서 다수의 팔로워를 보유한 인플루언서에게 제품, 서비스를 협찬하여 관련 게시물을 업로드하도록 하거나, 인기 있는 유튜버의 동영상에 제품 및 서비스를 등장시키는 것이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왕홍 마케팅은 대표적인 인플루언서 마케팅 방법이라 많은 사람이 말합니다. 왕홍은 중국에서 인플루언서를 지칭하는 단어로, 인기 있는 왕홍의 경우 SNS 팔로워가 수백만 명에 달합니다. 중국에서 왕은 인물 그 자체로 하나의 브랜드와 같이 인식되며, 왕홍의 파급력을 뜻하는 '왕홍 경제'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기도 하였을 정도로 그 파급력은 어마어마합니다.
특히 모바일 커머스가 발달한 중국에서는 왕홍이 진행하는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쇼핑방식이 크게 유행 중인데, 2022년 6월 유명 왕홍의 탈세 이슈로 인해 온라인판매 플랫폼 '타오바오'의 6월 GMV (총매출액)이 크게 줄어든 바 있을 정도로 왕홍의 영향력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라이브커머스
'라이브커머스 (Live commerce)'란 라이브 스트리밍 (Live Streaming)과 전자상거래 (E-Commerce)의 합성어로 판매자가 라이브 방송을 동해 시청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상품을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방식입니다.


TV 홈쇼핑과 비슷해 보이나 주로 모바일 앱으로 이뤄지고,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시청자들은 채팅을 통해 진행자 (판매자) 또는 다른 구매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다.

디지털마케팅 사진


타겟 광고

소셜미디어에서 ‘타겟팅'은 연령, 관심사, 지역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 광고를 볼 사람들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겟 광고는 광고의 목표전환 (구매, 트래픽, 회원가입 등)을 일으킬 확률이 높은 특정 그룹 (타겟 소비자)에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광고를 운영하는 전략적 수단입니다.



타겟 광고를 위해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등은 사용자의 쿠키 및 IP주소 등을 수집하여, 광고주들에게 유형별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광고주는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소비자들에게만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광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각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사용자의 조회 이력, 활동 지역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제품, 서비스의 광고에 자동으로 타겟팅 하기도 합니다.

※ 쿠키 :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임시파일로, 이용자의 검색내역, 상품 구매 내역, 사이트 체류 시간과 같은 이용자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의 예로, 신발을 구매하기 위해 온라인 상점, 소셜미디어 등을 탐색한 후 신발과는 전혀 관련 없는 뉴스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조금 전까지 보고 있던 신발과 온라인 상점에 대한 배너 광고가 사이트 곳곳에 노출되는 경우입니다.

글로벌 e커머스

댓글